FAQ

자주 찾으시는 질문들 입니다

Windows Hello기능을 이용하실 때는 열손가락의 지문을, 보안키 기능을 이용하실 때에는 네 손가락의 지문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지핑거 제품들은 본인인증용 제품으로 보안을 위해서 소유자 본인께서만 등록하여 사용하기를 권장드립니다.

이지핑거1과 이지핑거2, 이지핑거2+의 차이점은 가장 크게 디자인, 보안성, 사용성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지핑거1은 Windows Hello 인증을, 이지핑거2는 Windows Hello, FIDO2인증을 이지핑거2플러스는 Windows Hello, FIDO2, FIDO U2F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보안성 측면에서는 이지핑거2와 이지핑거2플러스가, 사용성 확장성 면에서는 이지핑거2 플러스가 가장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차이점은 아래 표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제품명

이지핑거1

이지핑거2 

이지핑거2+

형태

정방형

직방형

직방형

센서부베젤

무 

색상

화이트

화이트,실버,블랙 

실버,블랙

사이즈

14*14*20mm

18.5*13*21.5mm

18.5*13*21.5mm

해상도

88*88pixel

160*160pixel

160*160pixel

보안알고리즘

AES256,SHA256

RSA,ECC,ECDSA,ECDH,PGP,AES128/256, SHA1/256

RSA,ECC,ECDSA,ECDH,PGP,AES128/256, SHA1/256

적용인증표준

Windows Hello

FIDO2, Windows Hello

FIDO2, FIDO U2F, WIndows Hello

인증현황

Windows Hello, KC, CE, FCC, RoHS2, VCCI

FIDO2, Windows Hello, KC, CE, FCC, RoHS2, VCCI

FIDO2, FIDO U2F, Windows Hello, KC, CE, FCC, RoHS2, VCCI

사용가능서비스

각제품별 소개페이지 참조 - 

 

 

EzFinger1, EzFinger2 지문인식기는 윈도우10도 자동업데이트 관련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승인이 되어있습니다.
원활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어있어야 하며 드라이버 업데이트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십초~수분 후에 자동 진행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되지않는 경우 설정들을 통해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1) Windows key click > 'Windows 업데이트' 입력 > 고급옵션 > 업데이트 일시 중지 > '끔'
2) Windows key click > '장치 설치 설정 변경' >
장치에 사용 가능한 제조업체 앱 및 사용자 지정 아이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시겠습니까?
> '예(권장)'
3) Windows key + 'R' click > 'gpedit.msc' 입력(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실행됨) >
컴퓨터 구성 > 관리템플릿 > 시스템 > 장치 설치 > '구성되지 않음'
4) Windows key + 'R' click > 'gpedit.msc' 입력(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실행됨) >
컴퓨터 구성 > 관리템플릿 > Windows 구성요소 > Windows 업데이트
FIDO2를 지원하는 웹브라우저 버전은 일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각 제품별 지원 웹브라우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화면잠금 상태에서 LED가 켜져있는 상태 기준으로 EzFinger 제품은 최대 20mA, EzFinger2제품은 최대 50mA의 전류를 소모합니다. 이 상태에서 전원공급없이 배터리로만 장시간 사용시 노트북의 전류를 소모할 수 있습니다.
Windows7, 8, 8.1 의 경우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생체인식 라이브러리가 Windows10 과 달리 일부 호환성에 문제가 있어 LED 동작이 정확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Windows7, 8, 8.1 의 경우 일부 운영체제 버전이나 PC에서 지문을 등록 후 처음 화면잠금을 해제 할 때 지문이 아닌 기존에 사용중인 암호나 PIN으로 먼저 해제하고 다음 사용할 때부터 지문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PC를 재시작 할 때, 절전모드에서 복귀 할 때, 사용자 계정을 변경하여 다시 로그인 할 때, 특정 프로세서나 램상주 프로그램이 동작중일 때 등은 PC 및 운영체제에 의한 지연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는 장치 자체의 지연이 아닙니다.
1. 지문 등록할 때의 손가락 부위와 지문 인증할 때의 손가락 부위의 위치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인식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실제 등록할 때의 손가락 위치와 인증할 때의 위치를 가능한 유사하게 조정해 주세요.
2. 동일제품이지만 장치가 변경되었거나 새로운 제품으로 사용 할 경우 센서자체의 오차가 인식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등록된 지문을 제거 후 다시 등록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3. 지문 등록시 등록되는 손가락 부위를 조금씩 이동해 가면서 가능한 손가락의 여러 부위를 등록하면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손가락에 오물 및 습기 또는 상처 등에 의한 변형이 있을 경우 인식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5. 다른 손가락을 추가로 등록해 놓을 경우 주로 사용하는 손가락의 인식에 문제가 있을 때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드라이버 업데이트 이후 PC를 재시작 하였는지 확인바랍니다.
2.Windows10의 경우 PIN번호를 먼저 등록하였는지 확인바랍니다.
3.관리자 계정을 사용하고 있다면 일반사용자 계정으로 전환 후 다시 시도바랍니다.
4.EzFinger/EzFinger2 이외의 다른 생체인식 장치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다면 지문등록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해당 드라이버를 삭제 바랍니다.
5.일부 PC의 경우 EzFinger와 EzFinger2 드라이버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한가지 종류만 선택해서 사용바랍니다.
6.USB포트에 다른 생체인식 장치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지문등록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해당 장치를 제거 바랍니다.
1. 드라이버 업데이트 이후 PC를 재시작 하였는지 확인바랍니다.
2. EzFinger/EzFinger2 이외의 다른 생체인식 장치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다면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해당 드라이버를 삭제 바랍니다.
3. 일부 PC의 경우 EzFinger와 EzFinger2 드라이버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한가지 종류만 선택해서 사용바랍니다.
4. USB포트에 다른 생체인식 장치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장치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해당 장치를 제거 바랍니다.
5.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USB허브/멀티포트를 사용하거나 USB허브/멀티포트의 전압공급에 문제가 있을 경우 장치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USB포트에 EzFinger/EzFinger2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바랍니다.
2. Windows 버전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고 그렇지 않다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주세요.
3. (2)번 항에 문제가 있다면 ‘장치관리자’에 들어가서 해당 드라이버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오른쪽 마우스버튼을 이용하여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업데이트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자동검색’ 항목을 선택하여 업데이트를 해주세요.
(홈페이지에서 제품별 ‘지문등록’ 항목의 그림 및 설명을 참조하세요.)
4. (4) (2)~(3) 항의 방법으로도 업데이트가 되지 않을 경우 백신프로그램을 종료 후 다시 시도바랍니다.
5. (5) (2)~(4)항의 방법으로 업데이트를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온라인 환경에 문제가 있을 경우 홈페이지 ‘고객지원(Support)’ 항목으로 들어가셔서 제품별, 운영체제별로 제공되는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은 후 수동으로 설치바랍니다.